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화의 식민지화
    카테고리 없음 2022. 6. 17. 11:06


     거의 비슷한 시기에 영화의 기술과 서술체는 식민지 통치의 중요한 어떤 변형으로 등장했다. 미국은 필리핀과 쿠바를 장악했으며, 유럽 강대국들은 아프리카 분할에 합의했고,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저항은 진압되었다. 본디 원주민들의 권리가 짓밟히는 동안 상업적인 문화 수출과 주권의 주체는 영사막 위에 재현된 수많은 인종 말살 얘기들과 더불어) 단일화되었다. 할리우드 수출업자들은 일찍이 1912년부터 그들의 영화가 널리 알려졌으며, 미국의 다른 상품들에 대한 수요도 덩달아 생겨났음을 의식했다. 뉠 레이스는 1930년 J. 월터 톰슨 광고사 측에 "미국 영화 한 자가 팔려나갈 때마다 세계 어디에선가는 1달러어치의 생산품도 함께 파는 셈이다."라고 말했다.(헤여서, 1931년, 15쪽) 1930년대 말에는 미국의 공장 시설을 헐리우드식으로 영사막을 통해 보여준 다음 미제 재봉틀을 위한 새로운 시장이 자바에서 확보되었다는 내용처럼, 영화와 판매를 영웅적으로 연결한 얘기들도 수없이 나돌았다. 제작자 월터와 그녀는 파리의 속기사들이 미국 영화에 등장하는 회사원들의 환경과 그들 자기 직장 여건에서 나타나는 격차에 항의하는 파업을 벌였다는 소식을 듣고 기쁨을 감추지 못했으며, 이 여파로 (해마다 수출된 복사본 편수를 의미해서) 그가 "12만 미국 대사"라고 이름 지은 성과도 거두어들였다. (와그너, 1939년, 50, 45쪽) 그러한 연계는 클록 박공판과 관련된 유명한 두 장면으로 요약된다. 

    「나폴리에서 생긴 일」(1960년)에서 클록 박공판은 햄버거 만드는 방법으로 '요리법 제국주의'를 과시한다. 그는 현지 소년에게 햄버거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이것이 지중해 요리법을 손상한다고 해서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보다 25년 전에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t Happened One Night」(프랭크 캐프라, 1934년)에서 클록 박공판이 셔츠를 벗는 장면에서 밑에 속옷을 하나도 입지 않고 있었던 탓으로 내의 재고가 잔뜩 쌓이게 되었다면서 아르헨티나 기업인 대표단이 미국 대사관으로 몰려가 항의를 벌이는 사태도 일어났다. (왕, 1990년, 32쪽)

    영사막에 등장하는 판박이 유형들에 대한 관심은 흔히 개방적이고 현대적인 감수성과 동일하다고 간주하지만, 사실상 그것은 오래전부터 보수적인 사람들이 유리하던 바였다. 1920년대 이래로 할리우드는 재현된 모습들이 관객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해왔다. 이런 문제로 1922년에 멕시코는 수입 금지 조처를 했고, 같은 20년대에 문화적인 비방을 이유로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에스파냐에서도 공식적인 항의 표시를 했다. (백신, 1992년, 618, 620∼1, 624, 627, 631쪽) 여러 다른 나라가 이윤의 원천으로 부상하자 대본 내용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도 증가했다. 영화 업계에서 1927년에 마련한 '금지 및 주의 사항 목록은 "다른 나라의 종교, 역사, 조직, 유명인, 민족성을 비하하는 묘사를 피하라."고 제작자들에게 권고했다. 영국인들은 그리스도의 재현 불가를 고집했고, 그래서 이니스트 B. 쇼에 드샌 Emest B. Schoedsack이 감독한 폼페이 최후의 The Last Days of Pompeit」(1935년)에서는 그리스도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며, 새뮤얼 골드윈은 "이제는 우리들이 감히 보여줄 수 있는 악당은 미국의 백인뿐"(할 리, 1940년, 23쪽)이라고 불평하기에 이르렀다. 그렇지만 일본인들은 1930년대에 만일 할리우드 영화의 접근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서술체에서 전형적인 범죄자로 묘사하겠다는 협박까지 당했다.

    미국의 광고 담당 중역들은 영화와 소비 상품을 연결하는 작업에 재빨리 착수했다. 이런 전략은,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개발이 덜 된 국가를 현대화하는 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그런 수출 활동이 공식적으로 합법화되자, 많은 가난한 나라들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했다. 이기적이고 인종차별적인 현대화를 위한 기껏해야 훈계조의 차원을 넘지 못하는 담론에 반발하는 전반적인 반응은 국제적인 자본주의 매체를 제삼 세계에서 소비 상품에 대한 대중의 취향, 집단 문화, 경제적 및 정치적 조직의 형태를 형성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부각했다. 그러한 예로는 미국 영상제품과 하부구조의 수출뿐 아니라 국제 통신 기술에 대한 미국의 지배를 포함한다. 비평가들은 상업주의를 통한 개발 논리가 지역 문화를 몰아내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켰으며, 여러 의존 국가에서 외국 자본과 이념에 빌붙는 대가를 치르고서야 지역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지배 계급이 등장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