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면 연출 비평의 시작
    영화연구 2022. 5. 17. 10:00

    몽타주에 대한 차이점이라면, 바쟁의 생각에는 영상과 그것의 복잡한 구조가 우선이며, 해방되어 영상을 자유롭게 훑어가며 내부의 부분들을 접하는 관객의 시선 역시 우선한다는 것이다. 바쟁은 응시 凝視를 통해서 이해하려면 영상의 부분들을 보고 그것을 함께 조립해야 한다고 관객에게 요구했다. 그러나 에이젠쉬째인은 상충하는 영상들이 만들어낸 보이지 않는 공간에 대해서 관객이 반응을 보여야 한다고 믿었다. 관객은 몽타주의 변증법과 그로 인해 명확하게 제시되는 혁명의 역사에 반응한다는 주장이다.

    (프랑스에서 전위파 운동이 벌어졌던 1920년대와 미국에서 기록 영화 작가들이 활동했던 1930년대를 거쳐) 짧은 기간 동안 아이젠슈타인의 몽타주 개념은 영화 이론과 일부 실제 활동을 지배하다가 빛을 잃었다. 할리우드 영화 중에서는 유일하게 슬라브코 보르카피치slavko Vorkapich(유고슬라비아 출신의 작가로서 1922년 헐리우드로 건너가 각본을 쓰다가 연출을 시도했으며, 몽타주 편집 기법의 전문가로 인정받음. 1892~1976년)라는 편집자의 작업에서만 몽타주 개념이 나타나는데,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1936년), 「스미드씨 워싱턴에 가다M. Smith Goes to Washington」(1936년) 등 1930년대에 제작된 영화에서 그는 '몽타주 연속장면 montage sequence'을 만들어냈다. 길게찍기long take라는 바쟁의 미학은 역사가 더 길고 영향력도 대단했다. 바쟁은 에릭 본 스트로하임, F. W. 무르나우F. W. Murmau, 장 르누아르Jean Renoir, 오손 웰스, 윌리엄 와일러의 작품, 그리고 (로베르또 로셀리니와 비또리오 데 시까가 대표적인 전후 이탈리아 신사실주의 감독들의 영화를 길게찍기 영화 예술의 본보기로 삼았다. (몇 명만 이름을 거론하더라도)장-뤽 고다르와 프랑수아 트뤼포로부터 미켈란젤로 안또니오니, 베르나르도 베르똘루치, 그리스의 테오 앙겔로풀로스 감독, 영국의 영화인 테렌스 데이비스Terence Davies에 이르기까지 바쟁의 추종자들은 화면연출을 하느라고 편집보다는 촬영기의 복합적인 시각에 의존해서 서술 내용을 구성한다. 영화계를 지배하는 할리우드 영화의 구조와 대비를 이루는 영화를 만들겠다고 도전하는 모든 영화인은 아이젠슈타인에게로 돌아가지 않고, 바쟁이 찬양하고 옹호했던 기법, 즉 길게찍기 혹은 일관된 화면연출 기법을 선택한다는 사실을 입증할 강력한 증거를 우리는 실제로 경험했다.

     화면연출mise-en-scène의 개념은 비평가들의 관심도 끌었다. (바쟁이 창간에 관여했던) 프랑스 잡지 「까이에 뒤 시41 of Cahiers du Cinéma, 04427 7917-\Movies 71와 더불어 V. F. 퍼킨스Perkins와 레이먼드 더나 RaymondDurgnat 같은 저술가는 촬영한 장면과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들이 영화를 정의하는 결정 요소라는 개념을 추구했다.프랑스, 영국, 미국에서는 작가주의 이론과 더불어 화면연출에 대한 연구가 영화 예술 연구 분야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공헌했다. 화면연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다른 서술 형식들로부터 영화가 뚜렷하게 구별되게끔 하는 영화의 요소들을 강조하는 일이 가능해졌으며, 구도와 촬영기의 움직임과 조명과 초점과 색채를 통해 영상이 어떻게 서술 행위를 이루기 시작하여 영화가 계속되는 동안 우리의 인식을이끌어가는지를 설명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화면연출 분석은 또한 개성, 표현양식, 의미를 연결하는 하나의 방법이되기도 했다.

    화면연출과 작가주의 비평은 표현양식의 분석에서 서로밀접하게 얽혔고, 표현양식은 화면연출의 개인적인 표현임을 암시하는 정의도 자주 나타났다. 예를 들면 V. F. 퍼킨스가 니콜라스 레이Nicholas Ray 감독의 「역경Bigger thanLije」(1956년)에서의 색채 사용을 분석할 때(1972년, 84~85쪽),혹은 테리 코미토Terry Comito가 오손 웰스의 작품 「검은함정Touch of Eil」(1958년, 비디오 제목은 '악의 손길)에서 어지러운 지평선을 논할 때(1971년), 그리고 F. W. 무르나우의이동하는 카메라 사용법과 오토 프레밍거Otto Preminger의길게찍기 기법과 등장인물의 심리 상태를 묘사하기 위해히치콕이 사용한 화면 구도에 관해서 수많은 비평가가 정의를 내릴 때, 그들은 작가의 상상력이 영화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그들의 세계를 가시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게 된다.화면연출 비평은 다양한 목적을 달성해서 영화 형식상의구조에 비평적인 시각이 쏠리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고, 표현양식을 뚜렷하게 보여주리라고는 거의 아무도 상상하지못했던 매체에서 표현양식의 중요성을 탐색했으며, 예술적개성과 표현양식이 대중 예술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영화 예술 연구라는 분야를 규정하는 데도움을 주었다.

    반응형

    '영화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사 내의 생산 경제학  (0) 2022.05.17
    연속성 표현양식  (0) 2022.05.17
    앙드레 바쟁과 몽타쥬 연구  (0) 2022.05.17
    영화 내용물의 분석과 몽타쥬 연구  (0) 2022.05.17
    발터 벤야민과 영화  (0) 2022.05.16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