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말해, '관객 속의 여성'은 '영상으로서의 여성'이라는 극단적으로 단순한 용어로 요약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런 위상으로서의 동일시는 서술적이고, 시각적이며, 보다. 넓은 문화적 기호에 의해 끊임없이 보완되어야 한다. 게다가 관객 속의 여성이라고 해서 모두가 같지는 않다. 모방적인 관객과 내용물의 관계를 중단시키는 유일한 방법이 형식주의적 개입이라는 생각은 많은 관객의 사회 역사적 위치가 내용물로 정해진 위상과 맞아떨어지기가 어렵게 만든다.'라는 사실을 무시한다. 여성 동성애 관객층은, 여성이란 그 자신이 영상이기 때문에 영상에 대해서는 욕망을 느끼지 못한다는 가정하에서 성적인 차이와 이성애적 상보성이 그럴듯한 평형 상태를 이룬다는 정신분석학 이론에 대해서 특히 두드러진 도전으로 나타났다. (도언, 1982년) 재키 스테이시가 지적했듯이, “연결된 이원적 대립(남성과 여성, 능동성과 수동성)의 구도 내에서 동일시와 대상 선택을 이론화한 정신분석학적 설명은 필연적으로 여성 동성애를 남성화한다." (1987년 스테이시는 여성 관객층이 동성애적 구성 요소를 타고났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여성 동성애자를 확실하게 사회적 주체인 관람자로 규정하려는 시도는 여성 동성애자 관객이 어떻게 지배적이고 이성애적인 표현을 전유하겠는지를 고려하기 위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비켜났다. (엘스 워드, 1990년) 「욕망의 화면연출」(코의,1984년)로서의 환상과 영화가 상동 相同 관계라는 이론과 같이, 정신분석학 내에서 멀 비의 해석 틀에 도전하는 다른 시각들은 관객이 미리 정해지거나 일원적인 동일시의 위상을 반드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성역할과 성별을 뛰어넘는 동일시에 대해 여유를 보이면서도, 이러한 설명은 관객층에 대한 사회적-성적 정체성의 압박은 경시하면서 공상적인 유동성은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분야에서 제대로 검토되지 않은 자기 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비평 또한 점점 더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게 린스,1990년) 성적인 차이점이 정신분석학에서 주체성을 형성하는 축으로 간주하는 한, 시각적이고 서술체전인 기호에서나 관객의 반응 면에서나 라까의 여성주의 영화 이론은 인종적, 민족적, 계급적, 국가적 또는 다른 점과 성역할과의 교차점을 이론화하기에 부적절했다. 이 영역의 체계화는 이런 구조상의 공백을 보완했다. 비록 시선, 거부, 도착성욕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개념이, 특히 퓨란쯤 파농 Franz Fanon의 저술에 인용한 글에서는 인종적 편견이 담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해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담론은 보통 너무 역사성이 없고 개인적 특질이 강하여 반인종주의적 영화 이론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립하는 시선」(1992년)에서 벨 훅 스는 흑인 여성 관객은 영화에서 물신숭배를 받는 여성이 백인이기 때문에 할리우드 영화를 적대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여성주의 영화 이론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명백한 맹점은 관객 속의 다양한 여성이 여성스러움의 지배적인 재현과 맺어야 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여성주의적이고 반인종주의적인 정치학, 그리고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연구에서 끌어온 구체적인 독해와 새로운 방법론의 필요성을 부각했다.
멀비 자신이 '관객 속 여성의 문제'를 '통속극 문제와 연결 지은 것은 내용물 모형과 맥락 모형에 관한 주요 논쟁을 야기한다. 영화는 연극과 문학의 통속성에서 물려받은 바가 많지만, 통속극과 여성스러움의 연관성을 언급할 때는 흔히 경멸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다양한 국가적 맥락에서 본 무성 통속극, 1950년대 할리우드의 가족 통속극', 연속극 따위의 여러 텔레비전 고유분야, 그리고 특히 '여성의 영화로 알려진 통속극의 한 부분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 맥락과 실제 관객에 관심을 보이는 인식론과 여성주의 방법론을 내용물에 의해서 설정된 관객의 위상을 강조하는 이론과 비교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여성의 영화는 1930년대, 1940년대, 그리고 1950년대에 할리우드에서 번성했지만, 대부분의 오락 산업에서 오늘날까지, 특히 텔레비전용 영화에서 그대로 존속되었다. 그것은 여성 인기배우가 맡은 여주인공이 중심을 이루며, 여성이 집필했거나 여성의 작품을 각색한 경우가 많고, 흔히 제작비가 비교적 적게 들어간 편이며, 노골적으로 여성 관객을 겨냥하여 홍보하며 호응하는 쪽도 여성 관객이다. 전형적으로 이런 영화는 이성과의 낭만적인 사랑, 가정생활 같은 여성의 문제에 대해 감정적인 반응을 자아내는 역할을 한다.반응형'영화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헐리우드와 세계 (0) 2022.06.15 여성주의 영화와 관객이론 (0) 2022.05.19 여성의 영화를 결정짓는 특성 (0) 2022.05.19 여성주의 영화와 정신분석학 (0) 2022.05.19 여성주의 영화 비평과 이론 (0) 2022.05.18